본문 바로가기
운동

운동능력 향상의 이론적 배경

by 초코_수달 2021. 6. 23.
반응형

근력 강화의 이론적 배경

근 비대 개념

근육은 역치 이상의 자극을 통해서 장력을 발휘하도록 수축을 계속하면 근의 비대가 일어나며, 근의 비대란 근섬유의 굵기가 굵어지는 것을 말하고, 그 결과 근 군의 생리적 횡단면적의 증대를 가져옵니다.

 

근 비대의 결과

근원섬유의 수와 크기의 증가,마이오신 세사를 중심으로 한 수축 단백질의 양 증가, 근섬유 당 모세혈관 밀도의 증가, 결합 조직의 양과 힘의 증가, APT, PC, 글리 코켄, 미토콘드리아 등 여러 효소의 증가

 

백 근의 발달

근섬유에는 적근 섬유 ST와 백근 섬유 FT가 섞여 있으며, 그중에 백 근섬유의 혼재 비율이 크고, 그것이 비대에 의한 면적이 크면 클수록 보다 큰 근력을 발휘할 수 있습니다.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일차적으로 근섬유의 비대,특히 백근 섬유를 보다 비대시킬 수 있어야 합니다.

 

운동형태에 따라 백근과 적근에 대한 선택적 비대가 일어나고, 근력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높은 중량의 운동으로 백 근을 발달시켜야 합니다.

 

 

신경 충격 빈도의 증가

근력은 근섬유의 수축에 의해서 발현되는 장력으로, 그 크기는 근 수축에 참가하는 근섬유수와 각 근섬유에 발사되는 신경 충격의 빈도에 비례합니다.

따라서, 대뇌피질의 흥분 수준을 높이어 근섬유에 발사되는 심경 충격의 빈도를 일정한 간격으로 높일 뿐만 아니라 운동 단위의 수를 높여 많은 근섬유가 참가하는 방법을 강구해야 합니다.

 

기타

관절의 가동 범위 증대, 체지방의 감소, 에너지 생성 APT-PC 능력 향상

 

근지구력 강화의 이론적  배경 및 종류

운동 성과면

정적 근 지구력은  일정한 부하에 대하여 시간이 얼마나 오랫동안 지탱해 낼 수 있느냐 하는 능력으로 운동의 지속 시간으로 평가됩니다.

동적 근 지구력은  일정한 부하에 대하여 일정한 템포로 all-out 상태에 이르기까지 얼마나 많이 반복할 수 있느냐에 따라 운동의 반복 횟수로 평가 됩니다.

 

에너지 운반계의 개선 및 운반능력 개선

모세혈관 망 수의 증가, 근지구력이 향상하기 위해서는 산소 운반 매체인 헤모글로빈이 많은 편이 유리하며, 단위 혈액량당 농도의 증가에서 비롯되기보다는 전 혈액량의 증가에 따른 총 해모글로빈량 증가에서 비롯되어야 합니다.

 

근 혈류량의 증가

산소로 포화된 혈액이 운동 부위뿐만 아니라 전신으로 많이 운반되어야 하는데, 그 양을 혈류량이라 합니다.

혈류량은 반복운동 횟수가 증가함에 따라 증가하며, 이는 혈관, 동맥 측부 혈관, 모세혈관 등의 확장과 이를 통과하는 혈류 속도에 의해 좌우됩니다.

 

혈관의 확장을 억제하지 않고 많은 혈류가 흐를 수 있도록 하려면, 큰 힘을 발휘해야 하는 무거운 부하로는 곤란하며, 적당히 가볍게 부하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동정맥 산소 차의 향상

근지구력이 근에 공급되는 산소의 양에 의해서 좌우된다고 할 때에 동정맥 산소 차가 크면 클수록 근에 많은 산소를 공급할 수 있습니다.

 

조직의 사소 확산 능력 향상

근 산소 섭취량을 늘리려면 동정맥 산소 차의 향상뿐만 아니라 혈류량의 증가가 이루어져야 한다.

또한, 조직의 산소 확산 능력을 높이는 일도 중요합니다.

조직의 산소 확산 능력은 1차적으로 산소의 분압에 의하지만, 모세혈관이 잘 발달되면 얇은 혈관벽이 많이 개통되어 보다 효율적으로 산소를 조직에 확산시킬 수 있습니다.

 

에너지 소비 능력 개선 적근의 발달

근 조직에서 다량으로 운반되어 온 산소를 이용하여 간단하게 APT를 생성해 낼 수 있는 태세를 갖추고 있지 못하다면 애써 많은 산소를 운반해 왔다고 해도 소용이 없으며, 근 섬유 중에서 적근 섬유는 이와 같은 준비를 하고 있으므로 적근 섬유의 혼재 비율이 많을수록, 그리고 적근의 비대가 크면 클수록 근 지구력에 유리합니다.

 

산소 소비 능력 개선

산소 소비 능력이 개선되면 미토콘드리아의 수나 크기 증가, 미토콘드리아의 산화 능력 개선 등이 이루어집니다.

 

 

 

반응형

'운동'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운동의 처방  (0) 2021.06.23
유아의 운동기능과 움직임 경험  (0) 2021.06.23
유연성 훈련 종류 및 방법  (0) 2021.06.22
스포츠 트레이닝의 원칙  (0) 2021.06.22
스트레칭 내 몸 관리 방법  (0) 2021.06.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