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건강

40대 건강 위에 좋은 약초 섭취방법

by 초코_수달 2023. 2. 16.
반응형

위에 도움을 주는 약초

나이가 들수록 몸속의 장기들도 기능이 떨어지기 시작합니다. 잣은 술, 매운 음식, 기름진 음식 등 위에 부담을 주는 음식을 줄여야 합니다. 매일 소화가 잘되는 음식만 찾는 것도 힘들 것입니다.  위에 좋은 약초를 먹지 않는 것보다는 먹는 것이 도움은 되지만, 약초들이 가진 효능을 얻기 위해서는 잘 알아보고 섭취하는 것이 더 중요합니다.  위에 좋은 약초로 삼백초와 인진쑥이 있습니다.  삼백초는 잎과 뿌리, 꽃이 흰 빛을 띤 약초이고, 인진쑥은 중국 명의 화타가 극찬한 쑥의 일종입니다.  삼백초와 인진쑥 모두 위염예방과 완화에 큰 도움을 줄 수 있는 것으로 알려졌습니다. 위염은 위 손상에서 비롯하여 만성위염으로 이어지고 소화기능을 떨어뜨리고, 위암의 발병률까지 크게 상승시키는데, 두 약초를 섭취해 주면 위의 병변을 막는 데 도움을 줍니다. 염증 반응에 관여하는 물질을 억제하며 염증 유발원 중 하나인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등 유사한 작용을 해주므로 먹는다면 좋지만 여건이 되지 않는다면 최소한 인진쑥, 삼백초 중하나는 먹어주는 것이 좋습니다.

 

위
헤리코박터균

 

위 건강을 지키려면 복합섭취

복합적인 위 관리가 이루어질때 튼튼한 위를 사수할 수 있습니다. 염증인자억제, 위점막보호, 헬리코박터파일로리균억제입니다.

단 인진쑥과 삼백초만으로는 위 건강을 향상하는 것도, 온전히 지키는 것도 어렵습니다. 활성산소 외에도 위 손상 요인은 무수히 많고 손상이 계속되면 이들을 섭취한다 하여도 염증을 막는 데 한계가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손상은 최소화하도록 위벽 보호 을 해야 합니다.

음식을 함께 섭취할 것이 권장되는데 이와 더불어 헬리코박터균 억제를 돕는 음식도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 위염이 위암의 씨앗인 이유는? 우리나라의 경우 맵고 짠 음식을 선호하고
  • 위염이 위암의 씨앗인 이유는? 함께 나눠 먹는 식습관 때문에 입니다.
  • 위염이 위암의 씨앗인 이유는? 헬리코박터균에 쉽게 노출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 위염이 위암의 씨앗인 이유는? 위염을 앓는 분들이 많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은 위암을 야기하는 핵심요인이자 구강 전염이 가능한 탓, 때문에 한국인에게는 높은 감염률을 보이며, 특히 60대 이상에서는 90%의 감염률을 보이고, 한국인이 위암 1 위국이 된 데에는 헬리코박터균을 빼고 논하 긴 어려울 것, 위건강을 튼튼하게 지키려면, 위에 좋은 약초로 알려진 인진쑥과 삼백초를 섭취하는데, 위벽보호, 헬리코박터균 억제를 돕는 음식들과 같이 섭취하는 것이 좋습니다. 

 

 

 

 

위관리 복합식품 섭취할 것

  • 위관리 복합식품이란? 건강한 위를 유지할 수 있도록 돕는 성분들이 2가지 이상 함유되어 있는 영양제품군

위관리 복합식품은 위건강과 관련한 여러 성분들이 혼합되어있어 복합적인 위관리도 손쉽게 실천이 가능한데 , 단 성분 구성이 제각각이어서 필요한 성분들은 확인을 해야 합니다. 삼백초, 인진쑥, 둘 중 한 종류는 들어가 있는지 확인하고, 추가로 위벽보호, 헬리코바터균 억제를 돕는 성분도 들어가야 하는데, 두 역할을 해줄 성분들로는 무엇이 권장되는지 보겠습니다.

 

양배추
양배추

 

 

위관리 복합식품 어떤 성분인지 확인

  • 삼백초, 인진쑥은 염증 억제, 활성산소제거
  • 양배추, 위벽 보호
  • 노루궁둥이 버섯은 헬리코박터균 억제

 

버섯
버섯

 

 

인진쑥과 삼백초가 손상이 염증으로 번지는 것을 방지하며, 양배추는 이전에 손상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위벽을 보호해 줍니다. 

양배추 속에는 다량으로 함유된 비타민 U로 양배추 효능 연구를 통해 밝혀진 성분인데, 단백질과 결합해 위벽을 덮은 점막을 강화시켜 줍니다. 

노루궁둥이 버섯은 음식, 세균, 위산 등에 의하여 손상되지만, 수많은 공격요인 중에서도 헬리코박터균 만은 별도 관리를 요구하고 있습니다.

헬리코박터균이 위염은 물론 위암까지 유발하는 1급 발암물질이기 때문입니다. 노루궁둥이버섯은 단순 헬리코박터균만 제거하는 것이 아니고 세균을 잡아먹는 면역세포를 활성화시켜 항균을 해주는 것이므로 헬리코박터균 외에도 위에 침투할 수 있는 각종 세균들을 막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반응형